友情提示:同学您好,此页面仅供预览,在此页面学习不会被统计哦! 请进入学习空间后选择课程学习。


接续表达、句末表达、敬语 2级55-76


1.汉语和韩语复句:

1)汉语复句

①各个复句之间一般有停顿,书面上用逗号、分号或冒号表示;

②有些分句之间没有明显的逻辑关系,靠语序联系,有些分句使用关键词,使结构更紧密

2)韩语复句

一般没有书面上的停顿标记,且必须通过连接词尾和固定句式相连



2.
句末表达与敬语法

이하 관점 출처: <영한 번역의 종결어미 사용 연구>통번역교육연구 2019년 가을 제17권 2호

 

1.종결어미란

문장을 종결되게 하는 어말어미로서, 명제와 청자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드러낸다.

 

2.종결어미 기능

1) 이름 그대로 문장을 종결하는 것이다.

2) 청자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 청자에 대한 화자의 태도는 서술, 의문, 명령, 청유로 각기 다르다)

3) 명제에 대한 화자의 심리적 태도, 양태 (modality) 표현하는 것이다.

 

번역 글쓰기에서는 원문의 문장종결법에 따라 한국어의 대표적인 종결어미를 일률적으로 대응시키기보다는 원문의 문장이 수행하는 언표내적 행위와 양태 의미를 파악하고,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에서 상대 대우법의 등급을 결정하여 한국어의 종결어미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어는 실질 형태소에 형식 형태소가 결합하는 교착어로서,

한국어 문장은 서술어에 종결어미를 부착함으로써 종결된다.

종결어미는 단순히 문장을 종결되게 하는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명제와 청자에 대한 화자의 심리적인 태도까지 함께 나타낸다.원문 의미 분석에 따른 종결어미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전적으로 번역자의 몫이 된다.

 

번역문에서 종결어미의 선택은 번역의 문제이자 글쓰기의 문제이다.

원문의 종결법과 화행, 양태적 의미를 번역하기 위해서는 이를 표현할 있는 적절한 종결어미의 선택이 필요하다.

원문의 의미에서 무엇에 초점을 것이며 유사한 기능을 가진 종결어미들 가운데 무엇을 선택하여 어떤 의미를 드러내고 강조할 것인가는 글쓰기의 문제에 가깝다.

번역 글쓰기에서 종결어미의 선택은 문체의 효과를 가지기도 하므로 번역자는 한국어 종결어미의 용법에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3.번역을 종결어미 선택

1) 가장 먼저 고려해야 것은 원문의 언표내적 행위이다.

중요한 것은 원문과 번역문 간의 종결법 일치 여부가 아니라, 원문이 수행하는 언표내적 행위를 독자에게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문이 어떤 종결법을 취하고 있든, 원문이 수행하는 언표내적 행위가 무엇인지에 주목하여, 이를 직접 화행으로 표현할 것인지 간접 화행으로 표현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2) 다음으로는 원문의 양태 의미를 분석해야 한다.

동일한 유형의 종결법 어미라 하더라도 각각의 종결어미가 드러내는 양태 의미에는 미세한 차이가 있다. 원문의 양태 의미를 분석하고 그에 알맞은 종결어미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화자의 신분이나 성격, 심리 상태까지 분석하여 그러한 인물 정보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있는 종결어미를 선택하도록 주의한다.

이러한 과정에 유용한 전략 하나가 바꿔쓰기(paraphrase)이다.

 

조재영 (2001)에 따르면, 바꿔쓰기는 원문의 분석 단계 도착어 표현 단계 모두에 적용할 있다.

원문 분석 단계에서는 원문의 기저 구조와 의미를 포착 함으로써 원문의 정확한 의미를 포착해 낼 수 있다.

도착어 표현 단계에서는 번역문 독자에게 가장 적절한 표현을 선택해 내는 도움을 준다.

 

문학 텍스트는 명제적 내용에 못지 않게 어미로 표현되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가 의미의 전달과 이해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표준국어사전에서도 아직 종결어미 의미에 대해 정확한 풀이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항목들이 있다.

따라서 많은 비번역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다양한 종결어미의 용법을 익히고 의미를 분석하는 일이 뒷받침되어야 것이다.

 

화행 이론에서는 문장이 화자의 단순한 발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화자가 각각 하나의 행위를 실천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즉, 문장을 발화하는 언표적 행위 ((locutionary act, 발화행위)뿐 아니라 언표적 행위와 함께 수행되는 언표내적 행위(illocutionary act, 발화수반행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언표내적 위는 문장종결법과 일치하기도 하지만 일치하지 않을 때도 있다.

 

4. 종결어미와 높임법

‘-다’는 청자를 아주 낮추어 대우하고, ‘-습니다’는 청자를 아주 높여 대우한다.

청자에 대한 대우법을 상대 대우법이라 하는데, 한국어의 상대 대우법에는 청자를 대우하는 정도에 따라 아주 높임, 예사 높임, 예사 낮춤, 아주 낮춤의 격식체와 두루 높임, 두루 낮춤의 비격식체가 있다.

이러한 상대 대우의 정도는 서술법을 비롯하여 모든 문장종결법에서 종결어미로 구분된다.

句末表达类型

句末表达类型